물과 소변과 건강 관계
노란색 소변은 물 마시라는 신호
노화는 건조해가는 과정일까.
주름 접힌 바싹 마른 할머니 손과 오동통한 손자의 손.
마치 고목과 새순을 비교하는 듯하다. 실제 아기는 체중의 80%가 물이다.
피하지방이 많아
55%가 수분이다.
물은 우리 몸속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
첫째는 씻어주는 역할을 한다.
둘째는 혈액순환을 도와준다.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목이 마르다고 느낄 때 물을 마신다.뇌간 시상하부에 있는 센서가
혈액의 농축도를 감지해 급수를 요구한다.
이때 물을 마시지 않으면 혈액이농축돼 혈액순환이 느려지고몸 세포에는 영양소와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한다.세포 기능은 떨어지고 생명활동도 위험해진다. 이른바 탈수 상태다.
땅에서 자라던 식물을 화분에 옮겼다고 생각해 보자.
화분에 갇힌 식물은 사람이 정기적으로
물을 주지 않으면 시든다.중년 이후의 인체는 마치 화분에 심은 식물과 같다.
센서가 노화했으니 의식적으로 물을 마셔주지 않으면 만성적인 수분부족
현상이 나타난다.
그렇다면 얼마나 마셔야 할까.
하루에 몸에서 빠져나가는 수분은 3.1ℓ정도 된다.
따라서 최소 1.4ℓ를 의식적으로 마셔줘야 한다는 얘기다.평소 물을 잘 마시지
않는 사람은 당분간 습관이 들 때까지 다음과 같이 계획을 세워보자.
180㎖짜리 컵을 준비해 하루 7~8잔을 마시는 것이다.
저녁 무렵 1잔, 샤워전 1잔, 잠자기 전 1잔(하루 6회 합계 8잔)을 마신다.
밤에 화장실에 가고 싶지 않아 물 마시는 것을 피하는 사람도 있다.
한번 가는 쪽을 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정도로 정해져 있다.
농축돼 소변이 황색으로 짙어진다. 소변은 무색 투명한 색이 건강한 징표다.
따르는 것이 좋다.
물을 많이 마시지 않았는데 소변량이 많을 때는 당뇨병이나요붕증 같은 질환이 의심되므로 역시 의사의 진단이 필요하다.
그 양은 1~1.5L정도 된다.
소변은 99%가 물이다. 나머지 1%는 몸에서사용이 적혈구가 파괴되어 생긴 색소와 노폐물이다.
소변의 이 분홍색, 적색일 때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이 방광과 요도를 거쳐 배설되는 과정 중 어딘가
에서 피가 나고 있다는 신호이다. 이 피가 섞인 소변은 비뇨 생식기계통의
종양·암·결석 등의 신호탄이 되기도 한다. 물론 스트레스를 받거나 감기를
심하게 앓고 난 뒤에, 심한 운동을 했을 경우에도 생길 수 있다.
하지만,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 통증 없이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에는 지체하지 말고
병원에 가서 진단을 받아야 한다.통증이 있는경우에는 물론 병원을 찾을 것이니 이는 강조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소변 색이 암황색, 갈색일 때
소변 색깔이 진하고 갈색빛에 가까워졌다면 아마도 열이 났거나,
설사를 했거나,구토나 땀을 많이 흘렸을 경우로 추측할 수가 있다.
원인은 몸에 수분이 많이 빠져나가 소변이 농축되어 생기는 현상.
이럴 경우에는 수분 섭취를 늘이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치료방법!
이후에도 소변색이 돌아오지20않는다면 진료를 받아야 한다.
감염으로 인한 황달일 가능성이 있다.
더욱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에는 지체하지 말고 병원에 가서 진료를받아 보는 것이 좋다.
거품이 많은 소변이 지속한다면 단백질 성분이
소변으로 빠져 나오고 있다는 신호이므로 즉각 소변검사를
받아야 한다.
그러나 건강한 사람도 심한 운동을 했거나, 고열이 지속됐거나, 탈수가
됐거나,
등심이나 삼겹살 등 육류를 많이 섭취한 경우 일시적으로 거품소변이 나올 수 있다.
소변에서 EB새가 나는 것은 당연하지만, 만약 암모니아 냄새가 심하다면
세균 감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세균이 소변을 분해해 암모니아를 생성시키기 때문이다.
소변에서 과일 향기가 난다면 이는 당뇨병 신호. 당뇨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좋다.
◆ 밤에 소변 자주 보는 당신, 콩팥이 늙었나봐
[중앙일보] 입력 2014.03.10 00:01
처음엔 노폐물이 쌓여 쉽게 피로를 느낀다. 시간이 지나면 소변을 제
대로만들지 못해 온몸이 퉁퉁 붓는다.
교수는 “콩팥병은 중증으로 발전할 때까지 드러나는 증상이 거의 없어 가볍게
넘긴다”며 “요즘 인구 고령화로 발생 빈도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슬로건은 ‘당신은 콩팥 나이를 알고 계신가요?’
나이들수록 무서운 콩팥병
경북대병원 신장내과 김용림 교수는 “콩팥도 늙는다”며
“40세 이후에는 여과기능이 매년 1%가량 떨어진다”고 말했다.
사구체 여과율이 낮은 65세 고령층은 30대와 비교해 콩팥병이
9배 이상 많다. 고혈압·당뇨병 같 은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면
콩팥 노화 속도는 더 빠르다.
가느다란 모세혈관이 실타래처럼 얽혀 있는 콩팥은 혈압·혈당에 예민하다.
혈압이 높아지면 콩팥 혈관이 딱딱하게 굳는다. 여기에다
걸쭉해진 혈액이 여과장치(사구체)의 기능을 떨어뜨린다.
콩팥에는 사구체가 200만 개나 있다. 아주대병원 신장내과 박인휘 교수는
고혈압·당뇨병으로 콩팥 기능이 떨어지면 노폐물을 몸 밖으로 내보내지 못한다
며 몸에 이상이 있다고 느꼈을 땐 콩팥 기능의 80%는 손상된 상태라고
말했다.
콩팥병 환자 대부분은 10년 이상 발병 사실을 모르고 지내다가 말기에서야
치료를 시작한다. 김 교수는 “한번 망가진 콩팥은 대부분 회복이 불가능하다”
며 “콩팥병 고위험군은 더 철저히 혈압·혈당을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뇌졸중·심장병 위험을 높이기도 한다. 2011년 국제신장질환단체는 전 세계
만성콩팥병 환자 120만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대규모 연구 21개를 종합 분석
했다. 그 결과, 콩팥병이 심할수록 심뇌혈관 사망률이 최대 8배 높아졌다.
국내 연구 결과도 비슷하다. 2008년 대한신장학회는 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 환자 5만1989명을 대상으로 심혈관질환 위험도를 분석했다.
이 중 50%는 콩팥병이 아닌 심혈관질환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콜레스테롤보다 위험한 심혈관질환
유발인자”라고 말했다.한국인의 평균 소금 섭취량은 4878㎎ 이다. 세계보건기구의 소금 권고량
2000㎎보다 2배 이상 짜게 먹는다. 소금은 혈관·심장·콩팥을
자극한다.
소금 배출을 도와
혈압을 조절한다. 고혈압 환자에게 칼륨이 풍부한 바나나·참외·호박·시금치·상추 등을 권하는 이유다.
신 교수는 “칼륨 배설 능력이 떨어져 근육 쇠약·부정맥이 생길 수 있다”며
“채소를 물에 2시간 이상 담가두거나 데쳐 먹으면 칼륨 함량을 30% 이상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자신의 소변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도 있다.
건강한 사람의 소변은 맥주를 물에 탄 것처럼 맑고 투명하다.
진해진다. 박 교수는 “색이 옅고
진한것은 수분 상태에 따라 다른 것”이라며“콩팥이 잘 있다는 의미로 크게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으로 변한다. 증상이 심해지면 김빠진 콜라처럼 흑갈색이나 커피색으로 진해진다.
소변은 사구체→요관→방광→요도를 거치는 과정에서
혈액이 섞일 수 있다.
색은 노랗지만 거품이 심하게 난다. 바로 단백뇨다.
김용림 교수는 “단백질은 사구체에서 걸러져야 한다”며 “일시적으로 소변에
단백질이 섞일수 있지만 거품이 심하면 신장이 나빠지고 있다는 신호일 가능성
이 높다”고 말했다. 증상이 없다며 단백뇨를 무시하면 나중에 혈액·복막투석을
받아야 할 수도 있다.
글=권선미 기자 , 사진=김수정 기자
출처:중앙일보
심장질환의 위험인자 (0) | 2014.07.27 |
---|---|
과일에도 숨겨진 비밀, (0) | 2014.07.23 |
몸에는 조은데..... (0) | 2014.07.20 |
손 팔 어깨 저림.... (0) | 2014.07.18 |
대장 암 막는 생활습관 (0) | 201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