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봄이 시작된다는 * 입 춘 *

좋은 글 생각~

by 도토리1202 2014. 2. 4. 07:01

본문

 

 

    봄이 시작된다는 * 입 춘 * 봄을 상징하는 입춘은 24절기 중 첫째로 새로운 해의 시작을 의미하며 예로부터 입춘절기가 되면 농가에서는 농사 준비를 하지요. 아낙들은 집안 곳곳에 쌓인 먼지를 털어내고 남정네들은 겨우내 넣어둔 농기구를 꺼내 손질하며 한 해 농사에 대비했습니다. 소를 보살피고, 재거름을 부지런히 재워두고, 뽕나무밭에는 오줌을 주고 겨우내 묵었던 뒷간을 퍼서 두엄을 만들기도 했으며 바야흐로 바빠지는 시기입니다. 일년 농사의 시작이 이제부터이기 때문입니다. 또 이날 내리는 비는 만물을 소생시킨다 하여 반겼고, 입춘 때 받아둔 물을 부부가 마시고 동침하면 아들을 낳는다 하여 소중히 여겼다고 합니다. 그러나 '입춘한파'니, '입춘 추위 김장독 깬다'고 간혹 매서운 추위가 몰려와 봄을 시샘하기도 하지요. 입춘날 농가에서는 대문이나 집안 기둥에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같은 입춘첩(立春帖)을 써붙 이기도 했는데 여기에는 한 해의 무사태평과 풍년을 기원하는 뜻이 담겨 있지요. 더불어 어둡고 긴 겨울이 끝나고 봄이 시작되었음을 자축하는 뜻이기도 합니다. 예전에 농가에서 이 날 보리 뿌리를 뽑아 보고 그 뿌리의 많고 적음에 따라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보리뿌리점(麥根占)을 쳐보기도 했으며 여주인이 소복을 하고 땅의 신에게 삼 배를 올리고 보리뿌리를 뽑아 세 가닥이면 풍년, 두 가닥이면 평년, 한 가닥이면 이면 흉년이 든다고 믿었다합니다. 또 부녀자들은 오곡을 솥에 넣고 볶을 때 맨 먼저 솥 밖으로 튀어나온 곡식이 그 해에 풍작을 이룬다고 믿었다지만 이제는 다 옛 얘기가 되고 말았습니다. 대한을 지나 입춘 무렵에 큰 추위가 있으면, “입춘에 오줌독(장독·김칫독) 깨진다.” 또는 “입춘 추위에 김칫독 얼어 터진다.”라 하고, 입춘이 지난 뒤에 날씨가 몹시 추워졌을 때에는 “입춘을 거꾸로 붙였나.”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입춘 무렵에 추위가 반드시 있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좋은 글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이라는 나무   (0) 2014.02.06
남자같은 남편 여인같은 아내 /  (0) 2014.02.04
어찌그리움을 물어오십니까/  (0) 2014.02.01
어머니의 기도   (0) 2014.01.31
소중한 친구에게 주고 싶은 글   (0) 2014.01.24

관련글 더보기